
보통 사람에 대한 선입견은 그다지 긍정적인 정보로 활용하기 어렵습니다. 하지만 개발자의 업무 패턴에 대한 선입견은 개발팀 운영에 훌륭한 밑 데이터가 될 수 있습니다. 실제 경험에 따르면, 개발자의 개발습관/패턴에 대한 선입견을 통해 일정조정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
두 가지 사례로 살펴본 선입견을 통한 일정 조정
개발자 A의 경우, 이 친구는 항상 시간보다 더 걸릴게 뻔해
- A는 평소에 공유된 일정을 빠듯하게 처리하거나 약간 늦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. 만약 A가 5일의 작업 일정을 제시했다면, 관리자는 이를 참고하여 6일 정도의 여유를 두고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. 이와 같이 선입견을 반영하면, A는 부담 없이 최선을 다해 일정 내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, 결과적으로 신뢰 관계가 형성됩니다.
개발자 B의 경우, 항상 일정을 여유롭게 잡지
- 반대로 B는 일정에 대해 여유롭게 접근하는 스타일입니다. B가 말하는 5일은 지켜질 확률이 크고, 일정이 시급한경우 사정을 설명하고 약간 일정을 줄여내는 버퍼를 가져올 수 있게 됩니다.
선입견을 활용하는 이유
- 효율적인 일정 조정: 늦어질것을 고려하고, 안정적으로 제시한 일정을 맞출것을 통해 개발완료까지 시간간 지연을 사전에 줄여냅니다다
- 신뢰관계 구축: 개발자와 관리자가 서로 민망해질 대화가 줄어들게 되고, 높은 이해도를 통해 서로의 말을 (선입견을 통한 보정) 신뢰 하고 그 신뢰에 기반에 개발 진행이 가능해집니다
선입견을 만들어내기 어려운이유
- 주의력: 평소 개발 습관부터 어쩔땐 생활 습관까지 각 개발자에 대한 집중 및 주의를 크게 요하게 됩니다
- 경험: 개발 및 개발 관리 경험이 필수적이며, 개발자들의 과거 이력부터 현재까지 모든 경험을 기록하고 기억해두어야 합니다
- 개발자 수의 증가에 따라 위의 두가지 사항의 관리는 기하급수적으로 어려워 지게 됩니다
전문 툴의 활용
선입견 즉 개발자의 습관 및 패턴을 파악해 내기위해서는 전문적인 툴을 사용하는것이 필요해집니다:
- 실시간 작업 현황 파악
- 개별 개발자의 업무 패턴 분석
- 일정 예측 및 조정의 정확도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하여, 관리자가 보다 전문적으로 팀을 이끌 수 있도록 ‘경험’을 부여하여 돕습니다.

우리 팀의 각 개발자들의 특성을 알고 계신가요?